티스토리 뷰
산딸기 수확 시기는 5월 말에서 6월 중순까지 보름 정도만 먹을 수 있는 여름철 과일이다.
산딸기는 비타민C가 풍부해 더위에 지친 체력을 좋게 해 주고, 항산화 효능을 가지고 있어 여름철 폭염으로 인한 건강을 지켜주는 과일이기도 하다.
여름철 입맛을 잃기 쉬울 때 상큼한 산딸기 섭취가 도움이 된다.
아래에서 산딸기 효능을 살펴보고자 한다.
산딸기 효능
산딸기 효능 항암효과
산딸기에 함유된 비타민, 미네랄, 플라보노이드, 탄닌 성분은 항산화 작용과 함께 항염, 항바이러스, 항균 작용으로 항암 효과가 있다.
산딸기 효능 혈관건강
항산화성분인 폴리페놀이 풍부해 혈관에 쌓인 활성산소를 제거하고 고혈압, 심장병, 뇌졸중 등 심혈관질환을 예방한다.
산딸기 속 칼륨은 나트륨과 노폐물을 배출시켜 혈관을 건강하게 해 준다..
갱년기 증상 완화
산딸기에는 에스트로겐 성분과 비슷한 피토에스트로겐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여성호르몬 분비를 촉진하며 안면홍조, 가슴통증, 우울증, 열감, 두통 등 갱년기 증상을 완화하는데 효과가 있다.
눈 건강
천연색소인 안토시아닌 성분이 풍부해 눈의 피로를 풀어주며, 야맹증 및 시력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면역력 강화
산딸기에 함유된 사포닌 성분은 거담, 진해 효능이 있으며, 콜레스테롤 대사를 촉진해 감기, 기침, 폐렴에도 효과가 있다.
신장 기능 개선
원기 회복에 좋으며 비뇨, 생식기능을 향상해 주며, 요통, 정력 감퇴, 조루증 등에 효능이 있다.
소변의 양과 배뇨 시간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도와주며, 자다가 오줌을 싸는 소아 야뇨증과 소변을 참지 못해 화장실을 자주 가는 성인 빈뇨증 및 요실금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다이어트에 효과
산딸기는 100g당 22cal로 칼로리가 낮고, 식이섬유가 풍부해 조금만 먹어도 포만감을 높여주기 때문에 다이어트에 효과적이다.
산딸기의 식이섬유는 식후 혈중 중성지방의 흡수를 억제해 살이 찌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피부미용
산딸기는 비타민 C가 풍부해 피부미용에 효과적이다.
산딸기에 함유된 ‘엘라그산’ 이라는 항산화 물질이 자외선에 의한 피부주름을 막아주는 것으로 밝혀졌다.
피로회복
산딸기에는 피로회복에 좋은 비타민C, 유기산, 안토시아닌 등이 풍부하여 피로회복에 효과적이다.
당뇨병
산딸기는 당질의 소화를 억제하고, 식후 혈당이 50% 감소한다고 밝혀져 혈당조절에 효과적이다.
체기
음식을 먹고 체했을 때 산딸기나무뿌리를 달여 먹으면 체기가 잘 내려간다.
산딸기 부작용
1) 산딸기는 따뜻한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몸에 열이 많은 사람이 과다 섭취 시 구토, 설사 등을 유발할 수 있다.
2) 습진, 가려움증, 알레르기 증상이 나타난다면 섭취를 중단한다.
3) 칼륨이 많이 들어있어 신장질환이 있으면 주의가 필요하다.
산딸기 씻는 법
산딸기는 과육이 약하기 때문에 오랫동안 세척하면 비타민 손실이 크기 때문에 빠르게 세척한다.
식초 한 스푼 탄 물에 산딸기를 담근 후 살살 저어 재빨리 씻는다.
산딸기 보관법
구입 후 바로 냉장고 보관한다.
오래 보관하려면 깨끗이 씻어서 냉동고에 보관한다.
냉동고에 그냥 보관하게 되면 산딸기가 뭉쳐서 먹기가 불편하다.
산딸기가 뭉치지 않게 보관하는 방법은,
통에 산딸기 한 겹 깔고 설탕을 솔솔 뿌리고 또 산딸기 깔고 설탕을 솔솔 뿌려서 통에 넣어서 냉동고에 보관한다.
이렇게 보관하면 산딸기가 하나씩 톡톡 떨어져 먹기가 편하다.
2023.05.22 - [불교수행, 일상] - 비건 요리 (새송이 까스)
비건 요리 (새송이 까스)
비건 요리 새송이 까스 비건 새송이 까스는 모양과 맛이 돈까스와 유사하다. 새송이 버섯을 통째로 쪘기 때문에 새송이 버섯즙이 그대로 남아 있어서 식었을 때 먹어도 고소한 맛이 일품이고 너
mind-mirror.tistory.com
'불교수행,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듬 없애는 법 (확실함) (0) | 2023.06.19 |
---|---|
뱀딸기 효능 (0) | 2023.06.18 |
아이교육 및 공부 잘하는 비법(지혜 총명) (0) | 2023.05.29 |
비건 요리 (새송이 까스) (0) | 2023.05.22 |
흰민들레 효능(토종 민들레) (1) | 2023.05.14 |